공무원 자료 보관 기준, 어디까지 남기고 언제 버려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 현직 10년차 지방직 공무원, 가치있는언니입니다.오늘은 공무원 실무 중에서도 의외로 많이 물어보는 주제, 바로 “자료 보관은 어디까지 해야 하나요?”에 대해 정리해볼게요.문서를 기안하고, 보고서를 쓰고, 사업이 끝나고 나면 남는 수많은 파일과 서류들… 도대체 이걸 다 보관해야 하나? 정리하고 싶은데 어디까지 버려도 될까? 혼란스러웠던 분들, 이 글 하나로 개념을 잡아가세요!공공기관 자료 보관의 기본 원칙공무원 실무에서 자료 보관은 업무 투명성 확보, 감사 대비, 행정 연속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해요.자료 유형보관 기간비고공문 및 회신문서5년 이상전자문서시스템 자동 보존지출 관련 서류10년 이상세금계산서, 증빙자료 포함회의록, 협의서3~5년중요사항은 장기보관사업 결과보고서3년후속사업 참..
2025. 4. 16.
공무원 기안서 작성법, 형식부터 문장까지 실무 기준으로 정리
안녕하세요. 현직 10년차 지방직 공무원, 가치있는언니입니다 :)오늘은 기안서 작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신입 공무원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문서이면서도, 어디에서도 제대로 배우기 어려운 문서가 바로 기안서입니다.팀장에게 물어보기 애매하고, 예시를 복사해서 쓰기엔 상황이 달라 헷갈리죠. 그래서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하는 기안서 작성 형식과 문장 구성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릴게요.기안서란 무엇인가요?기안서는 공무원이 업무에 대한 판단을 요청하고, 상급자의 결재를 받기 위해 작성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공문과는 달리 내부 보고 목적이 강하고, 사업의 배경, 목적, 세부내용, 요청사항 등을 논리적으로 담는 것이 핵심이에요.기안서 기본 구성항목내용제목문서 내용의 핵심 요약 (두괄식)기안자 정보이름, 직위..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