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직 노하우

공무원 퇴직금 vs 퇴직연금 차이 완벽정리

by 꿈꾸는지아 2025. 5. 9.
반응형

“공무원은 퇴직금 없고 연금만 나온다?” “퇴직연금 수령 시점은 언제부터죠?”

이런 질문, 신규 공무원 사이에서 자주 오고 갑니다.
오늘은 공무원의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실질적인 차이, 계산 방식, 수령 시점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 공무원 퇴직 시 받을 수 있는 돈은?

공무원이 퇴직할 때 받을 수 있는 건 아래 2가지 중 1가지입니다.

구분 설명
퇴직금 재직기간이 짧거나, 본인이 선택한 경우 일시금 형태로 지급
퇴직연금 10년 이상 재직 시, 매월 연금 형태로 평생 지급

🧮 퇴직연금 수령 기준

  • 10년 이상 재직: 퇴직연금 수령 가능
  • 5년~10년 재직: 본인 선택에 따라 일시금 또는 분할 지급
  • 5년 미만 재직: 퇴직일시금으로 일괄 지급

📊 퇴직연금과 일시금 예시 (2025년 기준)

예: 9급 공무원, 60세 정년, 30년 재직, 평균 기준소득월액 250만 원

  • 퇴직연금: 약 100만 원/월 × 평생 수령 (사망 시 유족연금 가능)
  • 퇴직일시금 선택 시: 약 1억 8천만 원 수준 (단, 세금 부과 있음)

📌 퇴직연금 수령 시점은?

정년퇴직 기준, 만 60세 이후 매월 25일 전후로 첫 지급이 시작됩니다.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개별 통지 및 계좌 등록 절차 진행됩니다.

📄 공무원연금 수령 조건 확인하러 가기

💡 퇴직연금의 장단점

장점 단점
  • 평생 안정적인 수입 보장
  • 유족에게도 일부 연금 승계
  • 세금 혜택 존재
  • 물가상승 대비 미흡
  • 한 번 수령 방식 선택하면 변경 불가
  • 중간 인출 불가

🧾 요약 정리

  • 공무원은 퇴직 시 ‘연금’ 또는 ‘일시금’ 중 선택 가능
  • 10년 이상 재직 시 퇴직연금이 기본
  • 퇴직연금은 매월 지급, 일시금은 세금 공제 후 일괄 수령

퇴직 후 삶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공무원 연금, 지금부터 구조를 이해하고 준비해야 후회가 없습니다.

 

#공무원퇴직연금 #공무원퇴직금 #공무원퇴직시점 #공무원정년 #공무원연금수령 #퇴직일시금 #연금vs퇴직금 #공무원재직기간 #공무원급여구조 #공무원퇴직설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