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직 노하우

공무원 연가보상비·시간외수당 계산법 총정리

by 꿈꾸는지아 2025. 5. 8.
반응형

“연가를 안 쓰면 돈으로 준다던데,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시간외 수당은 정확히 어떻게 계산하나요?”

신규 공무원이 가장 궁금해하는 급여 항목 중 하나가 바로 연가보상비와 시간외근무수당입니다.
실제로 신청 시기, 계산 방식, 기준 금액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죠.

📌 연가보상비란?

연가보상비는 정해진 연가 일수를 다 쓰지 못했을 경우, 그 남은 일수만큼 현금으로 보상받는 제도입니다.

  • ✅ 대상: 정규직 공무원 중 연가 미사용자
  • ✅ 지급시기: 보통 매년 12월 또는 다음 해 1월
  • ✅ 산정기준: 기본급 + 정액급식비 + 직급보조비

🧮 연가보상비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구분 금액
기본급 (9급 1호봉) 1,769,500원
정액급식비 140,000원
직급보조비 65,000원
총 보상단가 (1일) 97,150원

예: 연가 5일을 못 썼다면 97,150원 × 5일 = 485,750원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시간외근무수당이란?

시간외근무수당은 퇴근 후 또는 주말에 근무한 시간을 인정받아 별도로 지급받는 수당입니다.

  • ✅ 기본단가: 직급에 따라 다르며, 보통 10,000원 내외/1시간
  • ✅ 계산법: 시간당 단가 × 인정시간
  • ✅ 인정시간: 실제 근무시간의 50%만 인정되는 경우 있음 (예: 초과근무 2시간 → 1시간 인정)

📌 시간외근무수당 계산 예시

예: 9급 공무원이 1주일 동안 2시간씩, 총 10시간 초과근무 → 5시간 인정 × 10,000원 = 50,000원

📥 어디서 신청하나요?

기관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다음 방식 중 하나로 신청합니다:

  • 전자결재 시스템으로 '연가보상비 신청서' 제출
  • 초과근무 기록은 주간/월간 보고서 형태로 부서장 확인 후 정산

📄 공무원 보수 규정 확인하러 가기

✅ 실전 체크리스트

  • ✔ 연가를 몇 일 남겼는지 연말에 꼭 확인!
  • ✔ 시간외근무는 반드시 ‘근무기록’ 남겨야 인정!
  • ✔ 부서장 확인 없으면 보상비도 수당도 지급 불가!

🧾 요약 정리

  • 연가보상비 = 기본급 + 수당 합산 × 남은 연가 일수
  • 시간외수당 = 근무시간 × 단가 (보통 절반만 인정)
  • 신청 누락하면 지급 불가, 반드시 전자결재로 남겨야 함

작지만 쌓이면 큰 돈! 연가보상비와 시간외수당은 공무원만 받을 수 있는 소중한 권리입니다. 정확히 알고, 꼼꼼히 챙기면 연말 보너스처럼 쏠쏠하게 들어옵니다!

 

 

#공무원연가보상비 #공무원시간외수당 #공무원초과근무 #연가보상금계산법 #공무원수당신청 #전자결재양식 #공무원급여 #공무원수익구성 #공무원실수령액 #공무원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