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 현직 10년차 지방직 공무원, 가치있는언니입니다.
오늘은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부분, 바로 붙임파일에 대해 다뤄보려고 해요.
“붙임은 도대체 본문 어디에 써야 할까?” “붙임이 여럿일 땐 번호를 붙여야 하나?” “본문에만 쓰고 실제 첨부를 안 하면 어떻게 되지?”
신입 서무라면 이런 질문들 한 번쯤 다 해보셨을 거예요. 오늘은 이런 헷갈림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붙임파일 작성법을 알려드릴게요!
붙임파일이란?
공문서나 기안서에 본문 외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를 말합니다. 계획서, 통계표, 세부사업안, 홍보물 시안 등이 대표적인 예죠.
붙임파일은 문서의 핵심이 아닌, 보조적인 정보 제공용이에요. 하지만 없으면 문서의 의미가 반감될 정도로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붙임파일 작성 원칙 요약
구분 | 작성 방법 | 주의사항 |
---|---|---|
본문 언급 | 하단 또는 문장 내에 ‘붙임 ○○ 참고’ 명시 | 붙임과 실제 첨부파일 일치 필수 |
파일명 | 문서와 연계된 명확한 제목 사용 | 예: 사업계획서(2024).hwp |
순서 | 붙임이 2개 이상일 경우 ‘붙임1, 붙임2’로 번호 부여 | 본문에도 같은 순서로 안내 |
파일형식 | 한글(HWP), PDF 권장 | 편집 방지 및 호환성 확보 |
본문에서 붙임 쓰는 위치는?
대부분 문서의 맨 마지막 줄이나, ‘주요 내용’ 문단 마지막에 다음처럼 작성합니다.
붙임 1. 2024년 ○○사업 추진 계획서 1부.
붙임 2. 지출내역 세부자료 1부. 끝.
※ “끝.”이라는 단어로 문서를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포맷이에요.
붙임 실수 유형 & 해결 팁
- 본문에만 있고 실제 첨부가 없음 → 반드시 첨부파일 업로드 확인
- 파일명을 ‘붙임1.hwp’로 저장 → 수신자가 내용을 유추 못하므로 제목명으로 저장
- PDF 변환 없이 원본 그대로 제출 → 내용변조 위험, PDF로 저장 권장
실무 팁: 붙임이 3개 이상일 경우
붙임이 많을 경우에는 목록표를 본문에 넣고, 자료는 압축(zip)하여 첨부하는 방식이 좋아요.
붙임 목록
1. 공모전 운영계획안
2. 홍보물 디자인 시안
3. 예산 소요계획표
4. 회의결과 회의록
이렇게 정리해두면 문서 수신자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정리하며
붙임파일은 단순 첨부물이 아닌, 문서를 완성시키는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수신자 입장에서 ‘이 문서만 보면 모든 걸 알 수 있다’는 기준으로 꼼꼼히 작성하고 첨부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첨부 누락, 파일명 오류, 순서 혼동은 대부분 초기에 생기는 실수지만 이 글만 읽고 습관화하면 누구보다 정확하게 붙임을 관리할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현직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실무에서 출력 업무, 서무가 다 해야 할까? 역할 분담 기준 정리 (0) | 2025.04.15 |
---|---|
공무원 실무에서 직원 회신이 늦을 때 대처법, 상황별 대응 전략 (0) | 2025.04.15 |
공무원 서식 찾는 법과 관리 요령, 실무자가 쓰는 방식 그대로 공개 (0) | 2025.04.14 |
공무원 기안서 작성법, 형식부터 문장까지 실무 기준으로 정리 (0) | 2025.04.13 |
공무원 연말정산 준비, 초보 서무가 꼭 알아야 할 실무 팁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