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꿈꾸는지아입니다
지난 글의 내용 중에 단권화라는 말이 나왔는데요
공무원 시험은 단권화를 체계적으로 했냐 못했냐로
당락이 결정되는 시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거에요
단권화를 잘 했어도 떨어지는 시험인데
단권화를 못 했다면 결과는 말 안해도 아시겠죠?
전체적인 단권화 방법입니다
과목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틀을 아시고 과목에 맞게 적용하면 되요
먼저 기본강의를 들을 때 기본서를 보잖아요
선생님이 얘기하는 내용 위주로 표시를 해 둡니다
기본서에는 이제까지 기출의 모든 내용이 다 들어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필기할 양이 많아서 따로 노트까지 준비해야 되거나 하지 않아요
선생님이 말하는 내용 첨가하면서 중요하다고 한 부분에
잘 표시를 해둡니다
보통 기출이 자주 된 부분을 강조하실 건데
우리는 잘 모르기때문에 표시를 잘 해둡니다
중요부분에 밑줄도 쳐놓구요
연필이나 샤프로만 하실것을 추천드려요
나중에 기본서단권화 할때 볼펜이 많으면 책이 화려해져서
눈이 아파요..
나중에 요약집이나 기출문제집으로 단권화 하실 분은
상관없구요
저도 해보니 기본서보다는 요약집이 단권화 해서 보기에는 훨씬 낫더라구요
그렇게 기본서를 1회독하시면,
일단 전체적인 내용은 그냥 들어봤다 정도일거에요
워낙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1회독으로 기억 나신다면
9급보단 5급고시를 추천드릴게요
이제 기출문제집을 봅니다
기본서에도 기출문제가 몇문제 있어서 풀어보셨을 거에요
맞춘다는 생각보다는 이런 문제 유형으로 어느부분이 나는구나 정도로
가볍게 보시고 풀어보셨는데 틀리셨더라도 좌절하지 마세요
기출문제집이 단원별로 되어 있는 것을 추천하구요
문제 밑에 바로 답이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출문제는 강의를 봐도 되고 안봐도 됩니다
일단 안보는 걸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기출문제집 1단원을 펴고 기본서도 같이 1단원을 폅니다
단권화를 어떤 것으로 할지 여기서 결정을 하셔도 되요
기본서로 결정하셨다면,
기출문제집의 해당 단원의 문제를 풉니다
맞고 틀리고는 중요하지 않아요
한 문제를 풀어보고 바로 밑에 답을 확인해서
어떤 지문이 맞았고, 어떤지문이 틀리게 나왔는지 확인하고
틀리게 나온 지문은 어떤 부분을 함정으로 냈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기본서로 돌아가서 해당 부분을 찾고,
지문이 나왔던 곳에 표시를 합니다
틀린 지문으로 나왔던 부분에도 함정으로 들어갔던 단어나 문장을 써주시고
X 표시를 해줍니다
함정은 참 교묘해서 공부 안하고 보면 참 정답같은 아이가
틀린 지문에 쓰이거든요
그건 절대 아니다라는 표시를 해줘서
내 뇌를 함정에 빠지지 않게 도와줍니다
이 과정이 공무원 시험 준비과정의 거의 반이상 차지할 거에요
하루아침에 끝나는 과정이 아니고
매일매일 인고의 시간을 쌓아가며 만드는 작업이죠
그리고 기출문제강의를 듣는 방법은요
기출문제강의를 보고 복습하면서 기본서를 찾아보면서 공부하는 것이 사실 정석인데,
그렇게 되면 체계적으로 정리가 안되고 지식들이 허공을 둥둥 떠다니기때문에
따로 정리하는 시간이 또 필요합니다.
오히려 시간이 오래 걸릴수도 있어요
1. 기출문제집->기본서
2. 기출문제강의+복습+정리
크게는 이 두가지가 단권화의 방법입니다
단권화를 하고 나서 10회독을 하면 합격!
1회독보다는 2회독이, 2회독보다는 3회독이 더 빠르게 볼수 있는건 아시죠?
그래서 시험 전날에 모든 과목을 한번씩 볼수 있는게 가능합니다
시간이 없다면 요약집에 이 과정을 해도 됩니다
요약집이야말로 빈출지문으로 가득차 있는 액기스니까
요약집에 단권화를 해도 됩니다
그러나 말 그대로 빈출지문만 있고
1번이나 2번 나왔던 지문은 없으므로
본인이 써 넣어야 할 지문이 많아집니다
그런데 이건 본인이 선택하는 것이기때문에
1. 기본서 : 모든 부분을 꼼꼼히 보고싶어. 한부분이라도 놓칠수없어
2. 기출문제집 : 일단 모든 내용은 알아. 그중에서 기출되는 부분 위주로 공부하자
3. 요약서 : 어짜피 커트라인 안에만 들면 되는 시험. 시험에 나오는 것만 공부하자
1. 기본서
꼼꼼한 성격대로 단권화 작업을 하고, 10회독정도 하신다면
고득점 합격 예상합니다
저도 시험 공부할 때는 몰랐는데,
그냥 커트라인 안에만 들면 다 똑같은 줄 알았어요
그런데 점수순서대로 순위를 매겨서
발령받는 시기부터 틀리고,
부서를 순위별로 발령받고,
제일 중요한 8급승진도 순위대로 승진이 되더라구요
합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득점으로 합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장 시간이 오래걸리는 대신 가장 보상도 크니
꼼꼼하신 성격이시라면 도전!
2. 기출문제집
기출문제집 자체가 사실 굉장한 족보입니다
그 안에서 문제들이 변형되고, 심지어 비슷한 문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나왔던 지문이 반복해서 나오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그러나 지문만으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서의 내용 중에 추가 할 것을 추가시키면서
단권화를 진행해 나가야 합니다
꼭 필요한 내용만 넣어야 하기 때문에 기본서를 더 많이 읽어보고
내용을 체화시켜야합니다
그 내용중에 기출지문과 연계해서 중요한 부분들을 기출문제집에 단권화합니다
단권화했을때 가장 핵심만 들어있을 가능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시험에 나오는 핵심이 아니라 전체 내용중에 내가 잘모르는 부분을 말합니다
딱 나한테 맞춘 단권화지요 내가 알고 있는데 구지 설명에는 쓰지 않죠
그렇게 할바에야 그냥 기본서에 단권화 하고 말겠죠
다시 말하면, 전체 내용중에 내가 모르는 부분만 넣었기때문에
다시 보면서 익힐 부분만 다 익힌다면 거의 모든 부분이 커버가 되는 방법입니다
3. 요약집
요약집이야말로 그냥 달달달 외우면 되는 핵심내용들만 가득한 책입니다
그러나 요약집만 본다면 이해되지 않는 것들 투성이일것입니다
요약집만 봐서 합격한다면 기본서같은 건 필요도 없겠지요
요약집 단권화는 앞서 말했던 기출문제강의+복습 했을때
정리용으로 기출문제집을 같이 보면서 단권화 할때 좋습니다
기본서는 읽을 것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죠
어느 방법이 맞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저는 과목별로 단권화 한 게 다릅니다
성격적인 부분도 선택의 기준이 되겠지만
과목의 특성 또한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저는 국어는 기출문제집으로 했고,
영어는 문법은 문법책으로 했고, 나머지는 안했어요
구지 얘기를 하자면 기출문제라고 할수 있을거같아요
국사는 요약집으로 했고
행정학도 요약집으로 했고
행정법은 기본서로 했습니다
판례가 너무 많아서 정리하는게 귀찮았거든요
이렇게 단권화 하는 방법에 대해 써봤는데요
전체적인 틀이기때문에
적용하는데 큰 도움이 되려나 모르겠네요
다음은 과목별로 단권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써볼께요
그런데 그 전에 과목별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써야겠네요
의식의 흐름대로 단권화를 먼저 썼지만
단권화는 형식일뿐 엄밀히 말하면 공부는 아니니까요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많네요
다음에 뵙겠습니다
'공무원합격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시험 과목별 공부방법 - 영어 (0) | 2020.08.29 |
---|---|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기출문제 분석 - 국어 (0) | 2020.08.28 |
가장 올바르고 정확한 공무원 기출문제 받을 수 있는 곳 : 사이버국가고시센터 (0) | 2020.08.27 |
공무원 시험 과목별 공부방법 - 국어 (0) | 2020.08.26 |
현직 공무원이 알려주는 9급공무원 합격방법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