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 현직 10년차 지방직 공무원, 가치있는언니입니다.
오늘은 신입 서무 담당자분들이 자주 묻는 질문, “예산도 제가 챙겨야 하나요?”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부서 예산 관련 실무는 대부분 서무가 중심이 되어 움직입니다.
물론 최종 결정은 팀장님과 과장님이 하시지만, 예산의 흐름을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항상 ‘서무’예요.
서무가 챙기는 예산 업무 항목
예산 관련 업무 | 서무가 하는 역할 |
---|---|
연초 예산 배정 확인 | 지출가능한 금액 확인 후 팀장 공유 |
지출 품의 작성 | 집행 사유 정리 및 품의서 기안 |
계획별 예산 분배 | 각 사업 예산을 항목별로 나눔 |
예산 소진율 관리 | 월별 잔액표 작성 및 정리 |
회계팀 협조 | 집행 전 사전 협의 및 회계 검토 요청 |
정산 및 증빙자료 제출 | 세금계산서, 카드전표 등 모아서 정리 |
예산 담당자가 되면 좋은 점
- 부서의 전체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요. 어떤 사업에 얼마가 쓰이고, 언제 예산을 많이 쓰는지 감이 생겨요.
- 지출 구조를 알면 공문·보고서에도 강해집니다. 예산이 들어간 문서를 작성할 때 신뢰도가 생기고, 보고서도 탄탄해져요.
- 감사 및 회계 점검에 대비할 수 있어요. 실무자가 예산 흐름을 잘 정리해두면 부서 전체가 편해집니다.
예산 관리 실수 방지 팁
- 계획 없이 쓰지 말 것
사업별로 어떤 예산이 얼마 배정됐는지 먼저 나눠두세요. - 세부 사업 코드 꼭 확인
과목코드/세부사업코드/예산항목이 맞지 않으면 회계팀에서 반려될 수 있어요. - 잔액표는 한 달에 1번은 꼭 정리
팀장님께 예산 소진율을 공유하면 소통이 훨씬 부드러워져요.
부서 예산은 서무가 정리하면 모두가 편해집니다
예산을 서무가 잘 관리하면, 부서장이 예산 관련 질문을 할 때마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불필요한 실수나 중복 지출을 막을 수 있어요.
특히 예산 코드와 항목을 정확히 이해해두면 지출 품의서 작성, 회계 시스템 입력 등 업무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 예산 코딩표, 잔액표 양식, 지출계획표 등은 전자책 《공무원 서무가 하는 일 총정리》에 자세히 담겨 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공지글에서 확인 가능)
반응형
'현직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기안서 작성법, 형식부터 문장까지 실무 기준으로 정리 (0) | 2025.04.13 |
---|---|
공무원 연말정산 준비, 초보 서무가 꼭 알아야 할 실무 팁 (0) | 2025.04.13 |
공무원 공문 발송 체크리스트: 실수 없는 문서처리 완벽 가이드 (0) | 2025.04.12 |
공무원 회의자료 만드는 법, 이렇게 하세요 (0) | 2025.04.11 |
공무원 회의자료 만드는 법, 이렇게 하세요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