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직 노하우

공무원 보고서 작성법, 초보가 처음부터 잘하는 방법

by 꿈꾸는지아 2025. 4. 9.
반응형

 

 

안녕하세요 :) 현직 10년차 지방직 공무원, 가치있는언니입니다.

오늘은 많은 신입 공무원분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업무 중 하나, 보고서 작성에 대해 다뤄보려고 해요.

보고서라고 하면 막연히 ‘어렵다’, ‘형식이 까다롭다’ 생각하는 분들이 많죠. 하지만 몇 가지 구조만 알고 나면 오히려 자신 있게 쓸 수 있는 게 보고서입니다.

저 역시 처음엔 보고서를 쓰는데 하루 종일 걸렸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30분 안에 완성할 수 있는 꿀팁들이 생겼어요. 오늘 그 팁들을 모두 알려드릴게요!

보고서란 무엇인가요?

보고서는 단순한 요약문이 아닙니다. 공무원 조직에서 보고서는 상급자와 동료에게 상황을 정확히 전달하고, 결정을 유도하는 실무 문서예요.

즉, 보고서를 잘 쓰는 사람은 ‘소통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는 뜻이죠.

보고서 기본 구성

구성 항목 내용
제목 핵심 키워드 포함, 문서의 목적 드러나게
배경 왜 이 문서를 쓰게 되었는지, 전후 맥락 설명
현황 현재 상황, 수치, 근거 자료 등 서술
문제점 현황에서 나타나는 문제, 애로사항 기술
개선방안 해결을 위한 제안 또는 요청사항

초보자를 위한 보고서 작성 5단계

  1. 핵심만 쓰기 – 배경 설명은 짧게, 주장은 명확하게!
  2. 문장 길이 2줄 이하 – 3줄 넘으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3. 수치, 예시 활용 – 막연한 표현보다는 구체적으로
  4. 한글 문서 양식 활용 – 문단 제목, 목차 정렬은 서식 활용
  5. 상급자 스타일 맞추기 – 팀장님 성향에 따라 말투, 형식 조정

실무 팁: 자주 쓰는 보고서 유형

  • 업무보고 – 일일/주간/월간 현황 보고
  • 사업추진 보고 – 예산 집행, 일정 계획 등 포함
  • 문제 상황 보고 – 민원, 사고, 예산 초과 등
  • 결재 보고 – 지출결의, 물품 구매 등

보고서는 쓰면 쓸수록 실력이 늘어요. 처음부터 잘 쓰는 사람은 없으니, 내가 쓴 보고서를 계속 보완해나간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문서 작성에 자신감이 생기려면?

📌 서식 폴더를 따로 만들어 두세요. 자주 쓰는 양식은 수정해서 계속 활용하면 시간이 절약돼요.

📌 상급자 코멘트는 반드시 기록해두세요. ‘이런 표현은 줄여라’, ‘이 순서로 바꿔라’ 같은 피드백은 다음 문서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쌓아두면 큰 자산이 됩니다.


더 다양한 보고서 예시와 상황별 보고 문장 표현은 제가 참여해서 만든 전자책 《공무원 서무가 하는 일 총정리》에도 담겨 있어요. 책 내용은 공지글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그럼 다음 글에서는 실수를 줄이는 문서작성 팁을 알려드릴게요!

 

반응형